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
뉴스
문화/예술
[임영석 시인의 금주의 ‘詩’] 수장水葬에 대하여 - 이승하
기사입력: 2021/07/23 [15:07]   울산여성뉴스
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
UWNEWS

 

수장水葬에 대하여 / 이승하

 

바다에서 죽은 사람들은 바다에서 산다 풍랑과 함께 

 

 

어디 가겠는가 바다

태어난 곳을 고향이라 하지만

죽은 곳이 고향인 사람도 있다 

 

 

한 번 죽어 영원한 살 수 있는 곳

뭍에서는 이상하게도

하는 일마다 엉켰다고 

 

 

바다는

시작도 바다고 끝도 바다

섬은 잠시 정박하는 곳

육지는 오래 정박하는 곳 

 

 

관 속도 아니고 수목 아래도 아닌

바다를 무덤으로 택한 사람들

태풍이 올 때 크게 웃고

해일이 올 때 춤추리 

 

 

바다에서 죽은 사람들이 바다에서 온다 파도와 함께

 

 

계간 『주변인과문학』2020년 봄호에서

 

 

 

 

글을 읽으면서 언어가 싸워야 할 주체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. 자연인가, 사람인가, 아니면 특정한 대상이어야 하는가. 

 

언어는 사뭇 공격적이면서 수비적인 말을 갖고 있다. 그 언어의 한 부분인 詩, 단단하면 단단할수록 그 시의 곁에 붙어 사는 말이 멀어져 간다. 반대로 말이 많으면 많을수록 붙어 사는 말은 많은데 말속의 뜻이 없다는 것이다. 

 

죽음이라는 말은 시인들의 언어의 공격 대상이다. 또한 살아가는 사람들이 잘 수비해서 견뎌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. 칼날인지, 칼 등인지는 칼을 잡은 사람의 마음에 달렸다. 

 

이승하 시인은 수장(水葬)은 바다의 파도에 의해 정해진다는 결론을 갖고 죽음의 시간을 정리하고 있다.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듯, 바다의 파도와 싸워야 살아남는다. 그 파도의 물음에 답하지 못한 걸음은 모두 죽음을 맞는다. 좋건 싫건 바다는 파도의 힘이 균형을 완성한다고 본다. 

 

때문에 '바다에서 죽은 사람들이 바다에서 온다 파도와 함께'라고 말을 한다고 본다. 

 

사람의 언어는 참 고약하다. 살아 있는 사람의 편에서 다루어지는 칼이다. 그러니 그 언어의 간격이 죽음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. 

 

죽음의 힘에 따라 언어도 그 소리가 다르다. 목숨 지닌 것, 언어를 이기려면 진실해야 한다. 그 진실이 권력인 양, 돈인 양 착각하는 이가 있다.

 

 

 

 

 시인 임영석

 

 시집 『받아쓰기』 외 5권

 시조집 『꽃불』외 2권

 시조선집 『고양이걸음』

 

 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이동
메인사진
[임영석 시인의 금주의 '詩'] 눅눅한 습성 / 최명선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  • 썸네일
인기기사 목록